본문 바로가기

산행 + 세상구경

140516 지리산 청학동 삼성궁.

 

[지식은 사람을 웃게 만들지만, 재물은 사람을 우둔하게 만든다.]  - 허버트

 

지난 주말 애들아빠 고교동창 6명이 하는 모임이 남원에서 있었다.

 일년에 한번 모이는데 퇴근 후 늘 꼴찌로 가다가 이번에 시간이 있어서 일찍 나섰다.

약속 시간은 저녁이라 가까운 곳 구경하고 가자며 처음 간 곳이 지리산 청학동 삼성궁이다.

중산리 가는(천왕봉 가는) 길로 가다가 조금 못미쳐서 갈라지는데 조금 더 가니 세석평전 가는 안내팻말도 보인다.

꽤 긴 삼신봉터널을 지나니 하동인데 곳곳에 서당 안내판이 있다.

출발해서 2시간 40분이 걸렸다.

 

 

청학동 입구.

청학은 '푸른 학' 이라는 뜻으로 전설에 신선이 타고 다니며 도술을 부리는 새라고 한다.

 

 

 

주차장에 들어서니 바로 보이는 건물인데 청학동 박물관. 

 

 

저 문의 앞 뒤 모습.

입장료 성인 5천원씩.

 

 

 

 

 

삼성궁은 지리산 주능선의 전망대로서의 가치를 지닌 해발 1285m의 산이라는 삼신봉(三神峰) 남쪽자락 해발 850m 숨어있다.

 

 

입구에 들어서니 작은 폭포가 있다.

물소리만 들어도 시원하다.

 

 

수많은 돌들과 그림과 조각들이 있었는데 여기선 여러가지 깊은 뜻이 있지만 난 이상하고 무서운 느낌이......

 

 

 

 

 

 

 

 

이런 길은 정말 좋아 ㅎ

 

 

천장에도 이상한 그림이......

 

 

 

 

세상에나~~~   좁은 문을 지나니 딴 세상이 나온다.

드디어 삼성궁이다.

 

 

 

 

 

 

 

 

십만평이라는데 우리나라의 것을 다 모은 듯 수많은 돌절구와 맷돌 다듬잇돌이 돌담사이에 끼어 있다.

맷돌과 다듬잇돌은 한민족의 음과 양의 기울을 뜻하고 돌절구는 삼신할매를 상징화 했단다. 

지금 천 몇백개가 넘는 돌솟대가 서 있다는데 이게 수행가가 원력을 키우기 위해서 쌓은 것이라는데 3333개를 쌓을 거라고 한다.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묵계리에 있는 신선 도장(神仙 道場).

삼성궁(三聖宮)의 ‘삼성’은 한배임[환인], 한배웅[환웅], 한배검[단군]이다.

배달민족의 고유 경전이라는 『천부경(天符經)』, 『삼일신고(三一神誥)』, 『참전계경(參全戒經)』의 삼화경과

삼륜(三輪), 오계(五戒), 팔조(八條), 구서(九誓) 덕목을 교리로 삼고 신선도를 수행한다.

국풍(國風)인 천지화랑(天指花郞) 정신을 연마하는 구도자들의 마을이며,

홍익인간의 이념으로 이화세계(理化世界)를 실현하고자 하는 수행 도량이기도 하다.

민족 선도(仙道) 교육의 총본산으로서 우리 민족 고유의 도맥을 복원 시키고

  5,000년 넘게 이어온 민족 선교를 공부하고 가르치기 위해 설립하였다.

 

삼성궁의 정확한 명칭은 '지리산 청학선원 배달성전 삼성궁’으로

이 고장 출신 강민주[한풀선사]가 1983년 고조선 시대의 소도(蘇塗)를 복원하여 민족의 성조인  환인, 환웅, 단군을 모셨다.

1984년 음력 3월 16일 삼성사(三聖祠)를 삼성궁으로 개명하고,

선도(仙道)의 중흥을 꾀하기 위해 초근목피로 연명하면서 화전민이 버리고 떠난 폐허속의 원시림을 가꾸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울타리를 만들어 행인의 출입을 막고, 굴러다니는 돌을 모으고 연못을 파는 행선(行仙)을 하여 오늘의 삼성궁을 이루었다.

 

- 디지털하동문화대전에서

 

건국전이라는 저 건물에 이 세 분을 모셔 놨다.

 

 

건국전에서 본 입구 쪽.

 

 

 

 

 

 

건국전 뒷모습.

 

안내표시 따라서 한바퀴 돌았다.

 

 

 

 

 

 

 

 

 

 

 

 

 

 

 

예전부터 와보고 싶었던 곳인데

처음에는 이상하고 무서운 느낌이었고 다 돌아나오니 신비한 느낌이 살짝 든다.

도데체 저 많은 돌들은 다 어디에서 나와서 저렇게 쌓았을까 싶기도 하고.

오르면서 보니 단풍나무가 많던데 가을이면 단풍이 참 고울 것 같다.

 

 

 

 

 

 

'산행 + 세상구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0517 하동. 구례. 곡성.  (14) 2014.05.30
140516 서암정사. 벽송사. 오도재.  (12) 2014.05.27
140515 나각산. 낙단보.  (20) 2014.05.21
140504 흑산도.  (18) 2014.05.16
140504 홍도 2.  (16) 2014.05.14